
강의에도 세팅하는 법 나오는데 전에 벨로그에 글 써둔게 있어서 옮겨왔다.
근데 지금보니까 왜 powershell에서 cra를 했지??
일단 글 그대로 옮겨옴.
맨 아래에 지금 쓰는 방법도 해놨어요 참고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00yJy7W0DQE
코딩 애플님 유튜브를 참고하여 리액트 세팅을 시작하였다.
1. Node.js 설치하기
https://nodejs.org/ko
홈페이지에서 LTS로 설치하였다.
높은 버전일 때 실행 오류가 날 수 있다고 주워들어서 대충 권장하는 걸로 했다..
2. 새 폴더 생성하기
원하는 위치에 새 폴더를 생성한다.
3. 폴더 shift+우클릭 PowerShell에서 열기
폴더를 shift+우클릭하면 중간에 여기에 PowerShell 창 열기를 누른다.
4. npx create-react-app 파일이름 입력하기
npx create-react-app 파일이름 을 shell에 입력한다.
파일 이름은 띄어쓰기 없이 - 를 활용해서 작성한다.
5. VS Code 에서 터미널 열기
VS Code를 켜서 폴더 안에 파일을 열고 왼쪽 위에서 터미널 - 새 터미널을 연다. 그럼 하단에 터미널 창이 생긴다.
6. npm start
터미널에서 npm start를 입력한다. 그러면 리액트 실행 창이 뜰 것이다!!!
이렇게 보면 정말 쉽게 세팅할 수 있다.
그러나 사실 나는 세팅하는데 하루가 넘게 걸렸는데...
알 수 없는 여러 오류들 때문이었다... 진짜 모든 오류 다 겪은 거 같다ㅠㅠ...
이후 새롭게 만들 때에는
새 폴더 하나 만들고
VSCode에서 터미널 열어서 npx create-react-app 파일명
npm start
만약 npm start 했을 때 에러가 난다면 파일 위치를 잘 확인해보길 바란다.
터미널에서 cd 파일명 입력해서 실행할 파일로 옮길 수 있음
오류도 글 올려두겠슴니닷.
'Study > 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모던 리액트 딥다이브] 가상 DOM과 리액트 파이버 (1) | 2024.10.22 |
---|---|
[모던 리액트 딥다이브] JSX (1) | 2024.10.22 |
[실전 리액트 프로그래밍] SPA 만들기 (0) | 2024.01.30 |
[실전 리액트 프로그래밍] 리액트 unpkg 사용법 (0) | 2024.01.26 |
[실전 리액트 프로그래밍] 이론 정리 (0) | 2024.01.26 |